세거 성씨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800008
한자 世居姓氏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충청남도 보령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문광균

[정의]

충청남도 보령 지역에서 같은 본관을 가지고 오랫동안 세거해 온 성씨.

[개설]

세거 성씨(世居姓氏)란 특정한 지역에서 오랫동안 세거하여 집성촌 또는 세거지를 형성하는 성씨를 의미한다. 이러한 세거에는 기원이 되는 특정한 지역에 들어오게 된 각 가문 입향조(入鄕祖)들이 있다. 다만 모든 가문이 입향조를 알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입향조가 누구인지 알려졌다고 해도 생몰년을 모르거나 생몰년을 안다고 해도 가문의 정확한 입향 시기를 모르는 경우도 많다.

충청남도 보령은 보령현(保寧縣)남포현(藍浦縣)이 합쳐진 지역이다. 보령현남포현의 전통적인 성씨는 국가에서 편찬한 지리지나 읍지 등에서 파악알 수 있다.

먼저 보령현의 성씨인 토성(土姓) 성씨로는 보령 최씨(保寧 崔氏), 보령 김씨(保寧 金氏), 보령 장씨(保寧 張氏), 보령 이씨(保寧 李氏), 보령 문씨(保寧 文氏), 보령 신씨(保寧 申氏), 보령 정씨(保寧 鄭氏)가 있다. 그리고 남포현의 토성(土姓) 성씨로는 남포 임씨(藍浦 任氏), 남포 백씨(藍浦 白氏), 남포 이씨(藍浦 李氏)가 있다.

이외에도 입향하여 세거한 성씨로는 강릉 최씨(江陵 崔氏), 광산 김씨(光山 金氏), 광주 안씨(廣州 安氏), 김해 김씨(金海 金氏), 나주 최씨(羅州 崔氏), 능성 구씨(綾城 具氏), 무송 윤씨(茂松 尹氏), 무주 김씨(茂州 金氏), 밀양 박씨(密陽 朴氏), 보성 오씨(寶城 吳氏), 신천 강씨(信川 康氏), 안동 김씨(安東 金氏), 양주 조씨(楊州 趙氏), 우봉 이씨(牛峯 李氏), 의령 남씨(宜寧 南氏), 장수 황씨(長水 黃氏), 전의 이씨(全義 李氏), 전주 이씨(全州 李氏), 진주 강씨(晉州 姜氏), 천안 전씨(天安 全氏), 청해 이씨(靑海 李氏), 파평 윤씨(坡平 尹氏), 평산 신씨(平山 申氏), 풍천 임씨(豐川 任氏), 한산 이씨(韓山 李氏), 한양 조씨(漢陽 趙氏) 등이 있다.[상기 성씨는 본관 가나다순으로 작성함.]

[보령지역 토성(土姓)]

토성(土姓)은 특정 지역에서 영향력을 행사한 성씨를 의미한다. 보령 지역의 토성은 보령현 지역의 토성과 남포현 지역의 토성으로 구분된다.

먼저 조선 전기 『세종실록(世宗實錄)』「지리지(地里誌)」에 기록된 보령현의 토성은 보령 최씨와 보령 문씨, 보령 진씨(保寧 陳氏), 보령 유씨(保寧 俞氏), 보령 나씨(保寧 那氏), 보령 장씨, 보령 임씨, 보령 이씨가 존재했었다. 이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이 편찬된 시기인 16세기는 추가로 보령 신씨와 보령 김씨가 추가되었다.

두 번째 『세종실록(世宗實錄)』「지리지(地里誌)」에 기록된 남포현의 토성은 남포 임씨, 남포 백씨, 남포 이씨, 남포 유씨(藍浦 庾氏), 남포 현씨(藍浦 玄氏), 남포 문씨(藍浦 門氏) 등이 존재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 시기에 남포현에는 추가 성씨가 발견되지 않는다. 이후 보령과 남포 지역의 토성들은 조선 후기에 많은 변화를 겪게 되었다.

『호서읍지(湖西邑誌)』에는 조선 전기와 마찬가지로 토성들이 지속적으로 이어졌지만, 실제로는 보령 지역의 성씨 중에서 보령 김씨를 제외한 보령 최씨, 보령 장씨, 보령 임씨, 보령 이씨, 보령 문씨, 보령 진씨, 보령 유씨, 보령 나씨, 보령 신씨는 모두 소멸되었다. 남포현의 토성도 남포 백씨를 제외한 남포 임씨, 남포 이씨, 남포 유씨, 남포 현씨, 남포 문씨는 모두 소멸되었다.

현재 보령의 토성은 보령 김씨와 남포 백씨를 제외하고 모두 사라져 흔적을 찾아볼 수 없다. 가문 소멸의 기준은 일정한 시기 이후로 과거 급제자를 배출하지 못하고 지역에서 동성이본(同姓異本)으로 흡수된 경우를 기준으로 하였다.

[조선전기 보령 입향성씨]

조선 전기 보령 자역에는 많은 성씨들이 입향하였다. 보령현에 입향한 성씨로는 고려 말에 입향한 광산 김씨를 시작으로 신천 강씨, 수원 이씨(水原 李氏), 한양 조씨, 한산 이씨, 원주 원씨(原州 元氏), 용인 이씨(龍仁 李氏), 수안 이씨(遂安 李氏), 안동 김씨, 진주 소씨(晉州 蘇氏), 창원 황씨(昌原 黃氏), 파평 윤씨, 경주 이씨, 나주 김씨(羅州 金氏), 단양 우씨(丹陽 禹氏), 청주 한씨(淸州 韓氏), 인천 채씨(仁川 蔡氏), 양천 최씨(陽川 崔氏), 무주 김씨, 보성 오씨, 거창 신씨(居昌 愼氏), 전주 이씨, 능성 구씨, 양주 조씨 등이 있다. 이 가문들의 입향 원인은 매우 다양한데 사패지(賜牌地)[임금이 특별히 하사한 논, 밭 등의 토지]를 받아서 입향한 사례와 처가로 이동하는 처변(妻邊), 외가로 이동하는 외변(外邊), 정치적 사건으로 인한 은거, 보령과의 연고 등으로 매우 다양하다. 이 중 보령의 입향한 성씨들은 고려 말에 입향한 광산 김씨와 혼맥을 통해서 처변과 외변으로 보령현으로 입향하게 되었다는 점이 중요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남포현의 입향한 성씨는 풍천 임씨, 경주 김씨, 통천 김씨(通川 金氏), 우봉 이씨, 경주 이씨, 광주 안씨, 파평 윤씨 등이다. 남포현 입향 성씨들의 특징은 정변(政變)이나 사화(士禍) 같은 정치적 혼란을 피해서 은거한 사족들이 대부분이라는 점이다.

[조선후기 보령 입향성씨]

조선 후기에도 조선 전기 못지않은 많은 성씨들이 보령 지역으로 입향하였다. 보령현으로 입향한 성씨로는 전주 임씨(全州 林氏), 해남 김씨(海南 金氏), 원주 김씨(原州 金氏), 경주 정씨(慶州 鄭氏), 나주 임씨(羅州 林氏), 평택 임씨(平澤 林氏), 연안 이씨(延安 李氏), 함양 박씨(咸陽 朴氏), 창녕 성씨(昌寧 成氏), 고령 신씨(高靈 申氏), 기계 유씨(杞溪 俞氏), 평해 손씨(平海 孫氏), 연안 김씨(延安 金氏), 여산 송씨(礪山 宋氏), 전주 김씨(全州 金氏), 김해 김씨(金海 金氏), 청해 이씨(靑海 李氏), 당성 이씨(唐城 李氏), 평강 채씨(平康 蔡氏), 해주 최씨(海州 崔氏), 경주 최씨(慶州 崔氏), 진주 류씨(晉州 柳氏), 밀양 박씨(密陽 朴氏), 여산 송씨, 여흥 민씨(驪興 閔氏), 의령 남씨(宜寧 南氏), 함양 여씨(咸陽 呂氏), 교동 인씨(喬桐 印氏), 청주 경씨(淸州 慶氏), 신창 맹씨(新昌 孟氏), 안동 권씨(安東 權氏), 순흥 안씨(順興 安氏), 무풍 김씨(茂豐 金氏), 월성 박씨(月城 朴氏), 월성 경씨(月城 慶氏), 진주 하씨(晉州 河氏)로 36개 가문이 입향하였다. 이 많은 성씨들이 입향한 이유는 임진왜란(壬辰倭亂)이나 병자호란(丙子胡亂)과 같은 난리를 피한 경우와 외변, 처변, 사패지를 받은 경우로 매우 다양하다. 특징은 조선 후기에도 조선 전기와 마찬가지로 보령 광산 김씨와의 혼맥을 기반으로 하는 처변과 외변으로 입향한 성씨의 사례가 많다는 점이다.

남포현으로 입향한 성씨로는 광주 안씨, 성주 도씨(星州 都氏), 여양 진씨(驪陽 陳氏), 청송 심씨(靑松 沈氏), 순천 김씨(順天 金氏), 온양 정씨(溫陽 鄭氏), 연주 현씨(延州 玄氏), 장흥 임씨(長興 任氏), 의령 남씨, 함평 이씨(咸平 李氏), 성주 이씨(星州 李氏), 장수 황씨, 무송 윤씨, 강릉 최씨, 전주 이씨, 전의 이씨, 밀양 박씨, 청해 이씨, 양주 조씨 등 20개 성씨가 추가적으로 입향하였다. 실제로는 26개 성씨이지만 중복되는 본관은 제외하면 20개 본관이다. 입향 원인은 전란을 피한 피난, 은거, 처변, 외변 등으로 매우 다양하였다. 남포현의 특징은 조선 전기에 입향한 성씨끼리 혼맥을 통한 결속을 강화한 점이다. 또 다른 특징은 임진왜란 이후 입향한 성씨들은 조선 전기에 입향한 성씨들과 물리적인 거리를 두었다는 점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