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800514 |
---|---|
한자 | 崔致遠 |
이칭/별칭 | 고운(孤雲),해운(海雲),문창후(文昌侯)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충청남도 보령시 |
시대 | 고대/남북국 시대/통일 신라 |
집필자 | 강종원 |
출생 시기/일시 | 857년![]() |
---|---|
활동 시기/일시 | 868년 - 최치원 당나라 유학 |
활동 시기/일시 | 874년 - 최치원 당나라 빈공과 급제 |
활동 시기/일시 | 885년 - 최치원 시독 겸 한림학사 수병부시랑 지서서감사 임명 |
활동 시기/일시 | 894년 - 최치원 진성여왕에게 시무십여 조 건의 |
추모 시기/일시 | 1020년 - 최치원 내사령 추증 |
추모 시기/일시 | 1021년 - 최치원 문창후 시호 추증 |
사당|배향지 | 무성서원(武城書院) -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원촌1길 44-12[무성리 500] |
사당|배향지 | 서악서원(西嶽書院) -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2길 23[서악동 615] |
성격 | 문관|학자 |
성별 | 남성 |
본관 | 경주 |
대표 관직 | 시독 겸 한림학사 수병부시랑 지서서감사|아찬|통일신라 성주산문 성주사 |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사지에 있는 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의 비문을 지은 남북국 시대 통일 신라의 문관이자 학자.
최치원(崔致遠)[857~?]은 신라 6두품 출신으로 868년(경문왕 8) 12세에 당나라에 유학하여 874년 18세에 당나라 빈공과에 급제한 뒤 관직생활을 하며 「토황소격문(討黃巢檄文)」 등 명문(名文)을 써서 문명(文名)을 떨쳤다. 885년에 신라로 귀국하여 관직에 진출하였다. 894년 진성여왕(眞聖女王)[?~897]에게 시무책을 올리고 아찬에 제수되어 시정개혁과 문란한 정치를 바로잡으려 했으나 실패하였다. 보령 성주사지에 현존하는 대낭혜화상탑비문을 찬(撰)하였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고운(孤雲) 또는 해운(海雲)이며, 경주 사량부(沙梁部)[本彼部] 출신으로 견일(肩逸)의 아들이다.
최치원은 12세에 당나라에 유학하여 18세에 당나라 빈공과에 급제하였다. 876년(헌강왕 2) 당나라의 선주(宣州) 율수현위(漂水縣尉)가 되었다. 이후 회남절도사(淮南節度使) 고변(高騈)의 추천으로 관역순관(館驛巡官)이 되었다. 879년 황소(黃巢)가 반란을 일으키자 고변이 제도행영병마도통(諸道行營兵馬都統)이 되어 출정할 때 종사관(從事官)이 되어 「토황소격문」을 써서 문명을 떨쳤다.
885년 귀국하여 헌강왕으로부터 시독 겸 한림학사 수병부시랑 지서서감사(侍讀兼翰林學士守兵部侍郎知瑞書監事)에 임명되었다. 보령시 성주사에 성주산문(聖住山門)을 개창한 무염(無染)[800~888]이 사망하자 진성여왕의 명으로 대낭혜화상탑비문을 찬하였다. 890년 이후에는 대산군(大山郡)[전라북도 태인]·천령군(天嶺郡)[경상남도 함양]·부성군(富城郡)[충청남도 서산시] 등지의 태수(太守)를 역임하였다. 부성군 태수로 있던 893년 하정사(賀正使)에 임명되어 다시 사신으로 당나라에 다녀왔다.
894년에는 시무책(時務策) 10여 조를 진성여왕에게 올리고 아찬(阿飡)에 임명되었다. 최치원은 문란한 정치를 바로잡으려고 노력하였으나 진성여왕이 왕위를 효공왕(孝恭王)[?~912]에게 선양(禪讓)하자 관직을 버리고 은거하였다. 최치원이 사망한 시기는 알 수 없지만 908년(효공왕 12) 말까지는 생존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치원이 전국을 유람할 때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보리섬[맥도]의 병풍바위에 글씨를 새겼다고 하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저술로는 시문집으로 『계원필경』 20권, 『금체시』 5수 1권, 『오언칠언금체시』 100수 1권, 『잡시부』 30수 1권, 『중산복궤집』 1부 5권, 『사륙집(四六集)』 1권, 문집 30권 등이 있다. 그 외에 사서(史書)로 『제왕연대력』, 불교 관련 저술로 『부석존자전』 1권, 『법장화상전』 1권, 『석이정전』·『석순응전』·『사산비명(四山碑銘)』 등이 있었다고 한다. 오늘날 전하는 것은 『계원필경』·『법장화상전』·『사산비명』 등이다.
1020년(현종 11) 내사령(內史令) 추증, 1021년(현종 12)에 문창후(文昌侯)라는 시호가 추증되었다. 조선 시대에 태인(泰仁)의 무성서원(武城書院), 경주의 서악서원(西嶽書院), 함양의 백연서원(柏淵書院), 영평(永平)의 고운영당(孤雲影堂), 대구 해안현(解顔縣)의 계림사(桂林祠) 등에 제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