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800709 |
---|---|
한자 | 長水 黃氏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성씨/성씨 |
지역 |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
시대 | 조선/조선 전기,조선/조선 후기,근대/개항기,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집필자 | 문광균 |
입향조 생년 시기/일시 | 1560년 - 황즙 출생 |
---|---|
입향 시기/일시 | 1592년 직후 - 황즙, 충청남도 보령 남포면 입향 |
입향조 몰년 시기/일시 | 1613년 - 황즙 사망 |
본관 | 장수 - 전라북도 장수군 |
입향지 | 장수 황씨 -
충청남도 보령 남포면
![]() |
묘소|세장지 | 황즙|황정직 묘소 -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대창리
![]() |
성씨 시조 | 황경(黃瓊) |
입향 시조 | 황즙(黃葺) |
황즙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보령의 이거 성씨.
장수 이씨(長水 黃氏)는 황경(黃瓊)을 시조로 하고, 황즙(黃葺)[1560~1613]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보령의 이거 성씨이다.
황경은 신라 경순왕(敬順王)[?~979]의 사위로 시중(侍中)[신라 때 집사성의 으뜸 벼슬]을 지낸 인물이다. 황경이 장수군(長水君)에 봉해진 황을고(黃乙古)의 아들이라는 이야기도 있지만, 현재 장수 황씨 문중은 인정하지 않고 있다. 그 후 10세손 황공유(黃公有)가 고려 명종(明宗) 대 전중감(殿中監)으로 이의방(李義方)[?~1174]의 난을 피하여 전라도 장수로 낙향하였고, 15세손 황감평(黃鑑平)이 후학을 위한 덕망 있는 학자였다는 것 외에는 알려진 바가 없으며, 특히 이조 참의를 역임한 18세손 황석부(黃石富) 이후에는 고증할 자료가 없다.
그래서 후손들이 황석부를 중시조(中始祖)[쇠퇴한 가문을 다시 일으킨 조상]로 하고 장수를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 오고 있다. 황석부는 황희(黃喜)[1363~1452]의 증조할아버지로 사후에 호조 참의로 추증(追贈)[종이품 이상 벼슬아치의 죽은 아버지, 할아버지, 증조할아버지에게 벼슬을 주던 일]되었다. 장수 황씨는 호안공파(胡安公派), 소윤공파(少尹公派), 열성공파(烈成公派)로 나누어졌는데, 황즙이 충청남도 보령으로 입향하였다.
입향조 황즙은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난을 피하여 호서의 비인현 저동[현재 충청남도 서천군 판교면 저산리]으로 낙향하였다. 이곳을 택한 까닭은 황즙의 처가인 풍천 임씨가 이미 저동에 입향하여 정착하고 있었던 데서 기인한다. 조선 시대 거주지 이전의 전형적인 형태인 외가나 처갓집 근처로의 이동이었던 것이다. 황즙의 아들 황정직(黃廷直)[1582~1657]은 아버지의 묘소를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대창리에 정하고, 비인 저동을 떠나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황교리 광암에 정착하였다.
2015년 통계지리정보서비스 본관 인구 분포 조사에 따르면, 충청남도 보령시에 거주하는 장수 황씨 648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입향조 황즙과 아들 황정직의 묘소는 현재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대창리에 자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