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800717 |
---|---|
한자 | 豊川 任氏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성씨/성씨 |
지역 | 충청남도 보령시 주산면 동오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문광균 |
입향조 생년 시기/일시 | 미상 - 임향 출생 |
---|---|
입향 시기/일시 | 14세기 말 - 임향 입향 |
입향조 몰년 시기/일시 | 미상 - 임향 사망 |
본관 | 풍천 - 황해도 송화군 풍해면 |
입향지 | 풍천 임씨 입향지 - 충청남도 보령군 주산면 동오리 |
세거|집성지 | 풍천 임씨 집성지 -
충청남도 보령시 주산면
![]() ![]() ![]() |
묘소|세장지 | 임향 묘소 -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평리
![]() |
성씨 시조 | 임온(任溫) |
입향 시조 | 임향(任向) |
임향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보령 지역의 이거 성씨.
풍천 임씨(豊川 任氏)는 시조인 임온(任溫)[?~?]을 시조로 하고, 임향(任向)[?~?]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보령 지역의 이거 성씨이다.
풍천 임씨(豊川 任氏)의 시조인 임온(任溫)은 본래 중국 소흥부 자계현 사람으로 벼슬은 고려 때 은자광록대부에 이르렀다고 한다. 임온은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1259~1297]를 수행하여 우리나라에 들어왔다. 풍천(豊川)[현재 황해도 송화군 풍해면]에 왕이 본거지를 마련해 준 것으로 전하는데, 이때부터 후손들은 풍천을 본관으로 삼아 계통을 이어 왔다.
시조 임온의 6세손 임주(任澍)[?~?]는 고려 충렬왕 대 경상도안찰사를 거쳐 감문위대장군을 역임하였다. 풍천 임씨는 임주의 아들 대에 와서 백파(伯派)[파조 임자송(任子松)]와 중파(仲派)[파조 임자순(任子順)]로 크게 나뉘며, 두 파에서 고루 인물을 배출시켜 가문을 중흥시켰다. 그 후 임자순의 아들 임향(任向)이 충청남도 보령으로 입향하였다.
임향은 고려 공민왕(恭愍王)[1330~1374] 대 정승 자리에 있던 중 당시 권력자인 신돈(辛旽)[?~1371]의 실정에 맞서서 직간(直諫)·항소하다가 충청남도 홍성에 있는 고구도에 유배된 후 다시 남포 죽도로 이배(移配)[귀양살이하는 곳을 다른 곳으로 옮김]되었다. 이후 유배 기간 중 고려가 망하고 새롭게 조선이 건국되면서 조정으로 돌아올 것을 권유받았지만, 불사이군(不事二君)[두 임금을 섬기지 아니함]의 자세를 고수하면서 정착한 곳이 지금의 충청남도 보령시 주산면 동오리이다. 그 후 후손들이 충청남도 보령시 주산면, 미산면, 웅천읍에 널리 퍼져 600여 년을 살게 되었다.
2015년 통계지리정보서비스 본관 인구 분포 조사에 따르면, 충청남도 보령시에 거주하는 풍천 임씨는 1,746명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입향조 임향의 묘소는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평리 동막동 양각산 중턱에 자리하고 있다. 당시 뛰어난 학자인 임헌회(任憲晦)[1811~1876]의 글을 받아서 신도비를 세웠는데, 신도비는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평리 동막동 묘소 입구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