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800896 |
---|---|
한자 | 遼山祠 |
분야 | 종교/유교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충청남도 보령시 청소면 죽하길 165-15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사현 |
충청남도 보령시 청소면 진죽리에 있는 조선 후기 중종반정 공신 이기의 사당.
요산사(遼山祠)는 중종반정(中宗反正)의 공신 이기(李夔)[1493~1547]를 모신 사우(祠宇)이다. 요산사는 부조묘(不祧廟)[조선 시대 신위를 옮기지 않도록 허락받은 신주를 모시는 사당]로 이기가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요산군(遼山君)’이란 군호를 받았으며, 이로 인해 부조묘를 하사 받았다.
이기의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사고(士高), 호는 정헌(靜軒)이다. 할아버지는 이혼(李渾), 아버지는 대호군 이수장(李壽長)이며, 어머니는 권관(權寬)의 딸이다. 조광조(趙光祖)[1482~1519]의 문인이다. 1513년(중종 8) 진사가 되고, 1519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후 검열(檢閱), 대교(待敎) 등을 거쳐 1527년에는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이 되었다. 이후 성균사예(成均司藝), 세자시강원필선(世子侍講院弼善), 경차관(敬差官) 등을 거쳤다. 1545년 인종(仁宗)[재위 1544~1545]이 즉위한 뒤 절충대호군(折衝大護軍)을 거쳐 예빈시정(禮賓寺正)이 되고, 1546년 이조참의로서 진헌사(進獻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온 후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가 되었다.
요산사는 청소면 진죽리 죽하마을에 있다. 장항선 청소역에서 서북쪽으로 약 1.3㎞, 청소초등학교에서 서북쪽으로 약 950m 떨어진 곳에 있다.
요산사가 처음 건립된 시기는 기록이 없어 알 수 없으나, 요산사에 남아 있는 2편의 중수기[1847년 정미(丁未), 1885년 을유(乙酉) 추정]를 토대로 볼 때, 16세기 중반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1847년(헌종 13)에 쓴 중수기는 이우명(李遇明)[1804~1863]이 썼다. 이우명의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경소(景昭), 호는 광헌(廣軒)으로 보령 청라에 살며 규남(圭南) 하백원(河百源)[1781~1844], 영의정을 지낸 남공철(南公轍)[1760~1840] 등과 교유한 유학자이다. 1885년(고종 22)의 중수기는 홍문관 교리(校理) 류석이 썼다.
요산사는 정면 3칸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건물에는 ‘요산군묘(遼山君廟)’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건물 앞에 솟을문과 담장이 둘러져 있다.
2019년 5월 10일 보령시 향토문화유산 제8호로 지정되었다. 매년 수안 이씨 요산군파 후손들이 제향(祭享)을 지낸다. 요산군묘 인근에 재실(齋室)이 있었는데, 2008년 화재로 소실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