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801345 |
---|---|
한자 | 孝子 金啟煥 旌閭 |
분야 | 종교/유교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충청남도 보령시 청소면 넙티로 391-29[성연리 238]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윤현 |
건립 시기/일시 | 1830년![]() |
---|---|
현 소재지 | 효자 김계환 정려 -
충청남도 보령시 청소면 넙티로 391-29[성연리 238]![]() |
성격 | 정려 |
양식 | 맞배지붕|겹처마 |
정면 칸수 | 1칸 |
측면 칸수 | 1칸 |
충청남도 보령시 청소면 성연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 김계환의 정려.
충청남도 보령시 청소면 성연리에 있는 정려(旌閭)로 조선 후기 김계환(金啟煥)[1729~1789]의 효행을 알리기 위해 세워졌다. 김계환의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우정(憂亭) 김극성(金克成)[1474~1540]의 8세손이다. 자는 사윤(士潤), 호는 오음(烏隱)으로 김현경(金顯慶)[?~?]의 2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6세에 당시(唐詩)를 배울 정도로 영재였다. 1783년에 생원시에 입격하였으나, 평생을 학문과 부모 봉양에만 전념하였다.
김계환은 효성이 지극하여 빙중(氷中)에 고기를 얻어 부모를 봉양하였고, 삼복더위에 꿩이 마당으로 떨어지는 일 등이 생겨 그 고기로 부모를 봉양하였다.
김계환의 효행은 추후 조정에 알려져, 1830년 명정(銘旌)[죽은 사람의 관직과 성씨 따위를 적은 기]을 하사받고 조봉대부(朝奉大夫)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추증되었다. 이러한 김계환의 행적은 성당(性堂) 정혁신(鄭赫臣)[1719~1793]의 『성당집(性堂集)』에 수록되어 있다.
충청남도 보령시 청소면 성연리 새재마을 입구 좌측에 있는 산의 동향 사면에 있다.
자연석으로 쌓은 축대 위에 시멘트로 기단을 설치하였고, 시멘트로 만든 팔각의 고주(高柱)를 올렸다. 정면은 홍살로 보호 시설을 하였으며, 건물의 양식은 맞배지붕의 겹처마 양식이다.
6세 손부 백천조의 정려와 함께 있다.
보령 지역 광산 김씨 판도판서공파 관련 자료이며, 조선 후기의 보령 지역 향토사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