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800421 |
---|---|
한자 | 外煙島 烽燧臺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외연도리 산1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심상육 |
현 소재지 | 외연도 봉수대 -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외연도리 산1
![]() |
---|---|
성격 | 봉수대 |
크기(높이,길이,둘레) | 1.3~2m[높이]|7.8m[봉수대 폭]|24.5m[둘레] |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에 있는 조선 후기 봉수대.
충청남도 보령시에 있는 보령 충청수영성으로 연결된 조선 후기 봉수대(烽燧臺)이다. 외연도 봉수대는 전라북도 어청도에서 받아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녹도 봉수대에 전해 주었다. 어청대 봉수대와는 16㎞, 녹도 봉수대와는 16.25㎞ 떨어져 있다. 조선 후기의 기록에 나타나므로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외연도 봉수대는 옛날 당제(堂祭)를 지낼 때 제를 올렸다고 하며, 일제 강점기에도 이곳에 올라 다른 섬에서 봉화불이 올라오는지 관찰하였다.
조선 시대 충청도 보령 충청수영성으로 연결된 권설봉수(權設烽燧)이다. 권설봉수의 노선은 어청도-외연도-녹도-원산도-오천면 영보리 망해정 봉수대[보령 충청수영성]로 연결되어 있다.
외연도 봉수대는 보령항에서 53㎞ 떨어진 외연도의 봉화산[238.3m] 정상부에 있다.
외연도 봉수대는 산정을 평평하게 한 후 둘레 24.5m의 원형으로 하나의 연대를 가공하지 않은 활석으로 쌓아 만들었다. 잔존 높이는 2m이다. 문은 북쪽 방향으로 나 있고, 문의 폭은 1m 정도이다.
조선 시대 충청도 서해안의 보령 충청수영으로 연결된 봉수대의 하나로 조선 시대 충청도 일원의 봉수대를 잘 보여 준다.